책소개
주요 필자 성현이 지은 조선 초기 잡기류 문헌이다. 일찍이 국사에서 다루지 못한 소소한 이야기들을 풍부하게 기록했다. 이야기는 인물 일화를 비롯해 풍속.지리.문화.음악.제도 등 다방면에 걸쳐 있어 그야말로 ‘총화’라는 이름에 걸맞으며, 성현의 아름다운 문장은 그 이야기를 더욱 빛내고 있다. 그가 담고자 했던 사람 사는 소소한 이야기들은 오늘날까지 남아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줄 뿐 아니라, 한국학 사료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다.
200자평
≪악학궤범≫의 주요 필자 성현이 지은 조선 초기 잡기류 문헌이다. 일찍이 국사에서 다루지 못한 소소한 이야기들을 풍부하게 기록했다. 이야기는 인물 일화를 비롯해 풍속·지리·문화·음악·제도 등 다방면에 걸쳐 있어 그야말로 ‘총화’라는 이름에 걸맞으며, 성현의 아름다운 문장은 그 이야기를 더욱 빛내고 있다. 그가 담고자 했던 사람 사는 소소한 이야기들은 오늘날까지 남아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려줄 뿐 아니라, 한국학 사료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다.
지은이
조선 초기의 문인으로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경숙(磬叔), 호는 허백당(虛白堂)이다. 용재(慵齋)·부휴자(浮休子)·국오(菊塢)라는 호도 사용했다. 시호는 문대(文戴)다. 아버지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염조(念祖)다. 맏형 성임(成任), 둘째 형 성간(成侃)과 함께 당대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쳤다. 성현은 1462년(세조 8) 23세로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1466년 27세로 발영시(拔英試)에도 3등으로 급제해 박사로 등용되었다. 홍문관정자를 지내고 대교(待敎) 등을 거쳐 사록(司錄)에 올랐다. 1468년(예종 즉위년) 29세로 경연관(經筵官)이 되었으며, 이후 예문관수찬·승문원교검을 겸임했다. 맏형 성임을 따라 북경(北京)에 다녀왔으며, 이때 지은 기행시를 엮어 ≪관광록(觀光錄)≫이라 했다. 1475년(성종 6)에는 한명회(韓明澮)를 따라 재차 북경에 다녀왔다. 1476년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해 부제학·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대사간·대사성·동부승지·형조참판·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488년에는 평안도관찰사로 있으면서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과 왕창(王敞)을 접대했는데 연회에서 화답한 시편으로 시재(詩才)를 인정받았다. 이해에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로 사은사가 되어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에 대사헌이 되었다. 성현은 음률에 정통해 다른 관직을 맡으면서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를 겸했다. 1493년에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1개월 만에 예조판서로 제수되었다. 외직에 있으면서 장악원제조를 겸직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이해에 유자광(柳子光) 등과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했다. 성현은 예조판서로 재임 중에도 관상감(觀象監)·사역원(司譯院)·전의감(典醫監)·혜민서(惠民署) 등의 중요성을 역설해 그곳에 딸린 관원들을 종전대로 문무관의 대우를 받도록 했다. 연산군이 즉위한 후에 한성부판윤을 거쳐서 공조판서가 되었다. 그 뒤에 대제학을 겸임했다. 1504년 정월에 66세의 일기로 세상을 마쳤다. 죽은 뒤 수개월 만에 갑자사화가 일어나서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으나, 중종 즉위 후 바로 신원되고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저서로 ≪허백당집(虛白堂集)≫, ≪용재총화(慵齋叢話)≫, ≪풍아록(風雅錄)≫, ≪풍소궤범(風騷軌範)≫, ≪부휴자 담론(浮休子談論)≫, ≪주의패설(奏議稗說)≫,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17종을 남겼다.
옮긴이
처인재 주인 홍순석은 용인 토박이다. 어려서는 서당을 다니며 천자문에서 소학까지 수학했다. 그것이 단국대, 성균관대에서 한문학을 전공하게 된 인연이 되었다. 지역문화 연구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강남대 교수로 재임하면서부터다. 용인, 포천, 이천, 안성 등 경기 지역의 향토문화 연구에 20여 년을 보냈다. 본래 한국문학 전공자인데 향토사가, 전통문화 연구가로 더 알려져 있다. 연구 성과물이 지역과 연관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동안 ≪성현 문학 연구≫, ≪양사언 문학 연구≫, ≪박은 시문학 연구≫, ≪김세필의 생애와 시≫,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 ≪우리전통문화의 만남≫, ≪이천의 옛 노래≫ ≪향토사연구의 이론과 실제≫ 등 40여 권의 책을 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고전선집 시리즈 가운데, ≪읍취헌유고≫ ≪봉래시집≫ ≪부휴자담론≫ ≪허백당집≫ ≪용재총화≫를 냈다. 짬이 나면 글 쓰는 일도 즐긴다. ≪탄 자와 걷는 자≫는 잡글을 모은 것이다.
차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용재총화 권1
역대의 스승
역대의 문장가
역대의 명필
역대의 화가
역대의 음악가
역대의 도읍지
한양의 경승지
고금의 풍속
처용희(處容戱)
관화(觀火)
구나(驅儺)
대관(臺官)과 간관(諫官)
감찰(監察)의 신참례(新參禮)
승정원(承政院)
용재총화 권2
집현전(集賢殿)과 홍문관(弘文館)
과거제도(科擧制度)
동궁(東宮)
삼관(三館)의 면신례(免新禮)
성균관(成均館)
약밥[藥飯]
세시풍속(歲時風俗)
전경법(轉經法)
권초지례(捲草之禮)
예조(禮曹)
용재총화 권3
강감찬(姜邯贊)과 호승(虎僧)
영태(永泰)의 광대놀이
신돈(辛旽)의 호색
미친 척하고 난세를 피한 조운흘(趙云仡)
최영(崔瑩)의 홍분(紅墳)
정몽주(鄭夢周)의 죽음
조반(趙胖)의 슬픈 사랑
이제현(李齊賢)의 변언(變言)
황희(黃喜)의 도량
정초(鄭招)의 총명
정씨(鄭氏)의 귀신 이야기
용재총화 권4
정갑손(鄭甲孫)의 기량
버림받은 여승의 복수
배후문(裴珝文)과 이석정(李石貞)의 활 솜씨
비문(碑文)의 글씨
화생(化生)의 이치
이학(理學)에 밝은 최지(崔池)
용재총화 권5
비둘기 소동
사승(師僧)을 속인 상좌
도수승(渡水僧)
바보 사위
이 장군(李將軍)의 호색담
아내를 연모하다 뱀이 된 스님
정절의 어려움
안생(安生)의 사랑
명통사(明通寺) 장님의 어리석음
호색 장님의 어리석음
풍산수(豊山守)의 어리석음
흉내를 잘 내는 사람들
사냥꾼 김속시(金束時)
봉석주(奉石柱)의 탐욕
어우동(於于同)
윤통(尹統)의 속임수
목 서방 거안(睦書房擧案)
용재총화 권6
지불배(池佛陪)의 인색함
처녀의 음란한 시
세 유생(儒生)의 꿈과 해몽
키다리 스님 원심(遠心)
닭중[鷄僧]
신수(信修) 스님의 기행(奇行)
박생(朴生)의 호색과 낭패
최세원(崔勢遠) 형제의 해학
홍녀(洪女)에 반한 서거정(徐居正)
이차공(李次公)의 재담
신 모(辛某)의 비루함
용재총화 권7
임숙(任淑)과 이유한(李維翰)의 실수
이순몽(李順蒙)과 민발(閔發)의 발언
조수(潮水)
꿩의 맛
유사(類似)한 사물들
기우제
원각사(圓覺寺)
언문(諺文) 창제
유구(琉球) 사신이 본 세 가지 장관
활자의 종류와 주자법(鑄字法)
김종련(金宗蓮)의 우직함
박지번(朴之蕃)의 충직
토산물(土産物)
파리목사[蠅牧使]
용재총화 권8
승문원(承文院)
역대 문장가와 저술
향도(鄕徒)의 미풍
빙고(氷庫)
이름난 점쟁이들의 예언
속담 중의 격언
사람들의 억측
용재총화 권9
조선인과 중국인의 비교
온천(溫泉)
훈장(訓長)
승과(僧科)
독서당(讀書堂)
도성 밖의 원교(院橋)
기로연(耆老宴)과 기영회(耆英會)
제액(題額)
역대의 명장(名匠)
용재총화 권10
도자기
예조청사(禮曹廳舍)
궁궐 안팎의 샘과 못
종이
양잠
제단(祭壇)
시문선집(詩文選集)
삼포 왜인(三浦倭人)
여의(女醫)의 비술(秘術)
일본의 풍속
야인(野人)의 풍속
이정보(李廷甫)의 졸필
귀화인 설장수(偰長壽)의 가문
귀화인 명승(明昇)과 진리(陳理)
우리나라의 거족(巨族)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사람들에게 콩과 팥의 꽃 색깔을 물으면 흔히 “콩의 꽃은 누렇고, 팥의 꽃은 붉다”고 할 것이다. 이는 다만 그 열매의 색깔을 보고 말한 것이다. 실제 팥의 꽃은 누렇고 콩의 꽃은 붉다.